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나와라! 만능자료, 가제트!
    My Works 2009. 7. 14. 22:01
    반응형


    2009년 3월 9일 공개 베타 오픈
    2009년 7월 1일 상용화 정식 오픈
    2009년 7월 14일 현재 회원 가입수 60만명

    요즘 선풍적인 인기를 실감하고 있는 파일 공유사이트이다.
    내가 만들었던 서비스 중 단기간에 성공한 케이스여서 아주 다행이라 생각한다.
    (실제 초기 기획은 2008년 6월에 시작되었다...^^;)

    개인적으로는 불법 자료 공유를 좋아하진 않지만 컨텐츠 유통 서비스 차원에서는 도전할 만한 부분이었다.
    기존에 P2P 서비스도 만들어 보았고, 웹하드도 손대봤지만 고객도 좋아하고, 운영하는 회사도 힘(유지비) 덜드는 그런 서비스를 만들고 싶었다.

    전에 만들었던 링뷰는 엔피의 보조 역할로써 밖에 수행되지 못했지만
    가제트의 경우는 웹을 기본으로 두고 다운로드 프로그램에서 제어를 하다보니 고객의 이용관점도
    웹 하나로 통일 할 수 있어서 좋은 서비스다.

    우선 짚고 넘어갈 것은 가제트는 완전한 P2P서비스가 아닌 웹하드 서비스이다.
    우리 팀내에서는 하이브리드 웹하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 기획에서는 P2P의 단점을 개선할 방법에 주로 포커스를 맞쳤지만
    현재의 가제트는 웹하드의 단점을 개선하는데 주력했다고 볼 수 있다.
    웹하드의 가장 큰 단점은 엄청난 유지 비용인 기가대역 트래픽과 스토리지용량이다.
    기가대역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가제트 컨트롤은 4가지의 피어를 끌어오는데
    DS, HG, Downpeer, Member 이다. DS는 흔히 웹하드에서 쓰이는 디스크 스토리지, HG는 홈CDN 장비이고, Downpeer는 내부 그리드 자원, Member는 가제트 컨트롤 이용자이다.
    실질적으로 P2P 자원은 30% 이하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사용하는 그리드는 가제트 고객의 자원이 아니다.)
    대부분 웹하드 이용자는 DS에서 자원을 가지고 오는 줄 알고 있지만 실제 많은 웹하드 업체들이 고객 컴퓨터를 이용한 그리드 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면에서 가제트는 이용자에게 P2P 자원을 활용하고 있다고 공개하고 있을 뿐인 것이다. 그리고 효율적이고 정교한 스토리지 분산을 통해 스토리지 사용량을 줄인다.
    이런 자원들을 활용해 막대한 유지비용을 줄이고 그에 따른 부분을 고스란히 고객에게 혜택으로 돌릴 수 있어서 서비스 이용 요금이 월정액 5천원이 된 것이다. (보통 웹하드 정액제 비용은 만오천원 정도 한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 방법에서 아무도 시도하지 않았던 것을 해보았다.
    '로그인 없이 서비스 이용해 보기'
    고객들은 이부분에 대해서 많이 의아해 하는데, 실제로 웹하드나 P2P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회원 가입하고
    실명인증해서 패킷받고해야 다운로드를 시도해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아무조건 없이 서비스를 이용해 보란 뜻으로 로그인 없이 일주일간 정액을 제공한 것 뿐이다. 이용해봐야 가제트의 진가를 알 수 있다고 판단해서 였다. 그리고 방식에 대해서 궁금해 하는데 엑티브엑스로 가제트 컨트롤 설치시 사용자 PC의 랜카드 고유 멕어드레스를 체크해서 처음 설치시에만 일주일 정액을 제공한 것이다.

    현재 적용 못한 아쉬운 점은 링뷰에서 사용했던 다양한 기교와 DB 처리 방법의 효율성 등이 있다.
    앞으로의 개선점은 가제트 컨트롤의 안정화, 속도 개선, 업로드 변경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